겨울이면 누구나 다 그렇듯.. 살이 찌기 마련입니다.
강아지도 빼놓을순 없겟죠..
비만은 사람이나, 강아지한테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죠.
하지만 미리 비만인 것을 알고, 대비하는 사람들은 별로 드물다고 알려져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개의 경우 25∼40% 정도가 비만 상태인데
주인들 중 약 3분의 1 정도만이 자신이 키우는 애완동물이 비만임을 인지합니다.
나머지는 정상적인 체중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비만은 동물의 수명을 약 40% 단축시킨다고 알려져있죠.
심장질환, 고혈압, 관절염의 악화, 거친 호흡 등이 비만에 동반되는 부작용입니다.
특히 강아지가 많이 걸리는 TOP 5안에 드는 질병은
"심장병" 과 "관절염" 이죠.
우리 강아지들이 비만인지 아닌지, 필수적으로 체크해야할 이유가 되겠습니다.
특히나 나이가 많은 동물은 대사 기능이 떨어지므로 비만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나이가 많은 친구들은 군것질을 자제 시켜줘야 합니다.
그럼 강아지 비만 체크는 어떻게?
크게 비만을 체크하는 방법으로 흉골측정법을 이용합니다.
갈비뼈가 쉽게 만져지거나 눈에 보이는 경우는 동물이 마른 경우이고,
갈비뼈를 잘 만질 수 없을 때는 심각한 비만입니다.
적당히 만져질 경우가 가장 이상적인 몸무게라고 할수있겠습니다.
강아지가 마른것같아요!
1. 현재 먹이는 먹이의 영양분석표를 점검해 질이 낮은 경우 단백질이 풍부한 먹이로 바꾸어 줍니다.
사료 선택은 강아지한테 중요합니다.
사람도 유아기, 청소년기에 따라 필요한 음식이 다르듯이, 강아지도 똑같습니다.
혹시 강아지용을 먹여야 할 시기에 성견용이나 장년용을 먹이는 지 점검해야 합니다.
보통 1살까지는 강아지용 먹이를, 1살에서 9살까지는 성견용을, 9살 이상일 때는 장년용을 권장한다.
<강아지용 먹이 -> 초반 필수 비타민 > < 장년용 - 관절쪽에 좋은 성분을 가진 사료>
2. 먹는 양 점검하기!
먹는 양을 점검하여, 현재 주고 있는 양이 부족한 경우 적당량을 늘려주세요.
먹이를 주는 횟수는 6주에서 3개월 나이는 4회, 4개월에서 6개월까지는 3회, 6개월부터 일생 동안 하루 2회를 주면 됩니다.
1회 양의 기준은 먹이를 주어 30분 이내에 먹는 양이 적당합니다.
30분 이후에는 덜먹었더라도 바로 치워줘야 합니다.
'동물 이야기 > 강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 교육은 필수일까? (0) | 2018.05.14 |
---|---|
강아지 : 어떤 잠자리가 좋을까? (0) | 2018.02.15 |
강아지를 13년간 키우면서 배운 몇가지 상식. (0) | 2018.01.22 |